가. 당독소 (AGEs) 란?
당이 든 음식을 섭취한 다음 우리 몸에서 사용하지 못하고 남은 당이 몸속의 단백질, 지방과 결합하여 우리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당화산물을 만들어 냅니다. 이것을 당독소 라 하며 단백질, 지방과 당이 결합된 식품의 열처리 과정 중 생성되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음식이 첨가당 (사탕, 탄산음료, 아이스크림, 바비큐소스, 케첩), 적색가공육 (햄, 베이컨, 소시지, 스테이크), 초가공식품 (패스트푸드, 시리얼, 제과류), 고온 조리 고탄수화물 (크로와상, 베이글, 머핀) 음식과 특히 우리가 즐겨 먹는 치킨과 돼지갈비는 직화 또는 튀김으로 고온으로 조리할 때 탄수화물 또는 당과 결합하여 당독소가 많이 발생됩니다. 이 당독소가 콜레스테롤과 결합하여 산화되면 대식세포가 결합된 당독소를 잡아먹고 거품세포가 되어 혈관에 쌓이면 혈관이 막히게 되어 죽상 동맥경화로 발전하게 됩니다.
![]() |
![]() |
![]() |
나. 당독소가 일으키는 만성질환
첫째, 골다공증
뼈 무게의 반을 차지하는 콜라겐 섬유에 칼슘과 마그네슘이 결합하여 뼈의 구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뼈의 콜라겐 섬유에 당독소가 쌓이면 콜라겐 섬유의 탄력성이 떨어지고, 또한 뼈를 만드는 세포에 들러붙어 미네랄 성분이 흡수가 않되어 조골능력이 떨어져 골다공증이 됩니다.
둘째, 백내장
당독소는 콜라겐 섬유가 교체될 때 같이 사라집니다. 평생 교체가 되지 않는 콜라겐이 있는데 안구 수정체 단백질입니다. 이 단백질에 당독소가 증가하면 수정체가 혼탁해지면서 백내장이 발생할 위험이 커집니다.
셋째, 치매
치매는 대부분 알츠하이머병에 의해 생깁니다. 알츠하이머병의 주범인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뇌신경 세포에 쌓여서 인지기능이 점점 약해지는 질환입니다.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에 당독소가 결합되어 염증과 산화가 발생하여 베타 아밀로이드 반점이 생성되고 치매로 발전합니다.
넷째, 암
당독소가 세포의 복제 과정에 영향을 끼칩니다. 우리 몸은 매일 1 조 개의 세포가 죽고 새로운 세포가 생겨납니다. 유전자 정보가 담긴 DNA 에 당독소가 축적되면 세포 복제에 오류가 생기고, 이로 인해 암세포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뿐만아니라 당독소는 암이 전이되는 것에도 영향을 줍니다. 당독소는 심혈관 질환, 동맥경화, 골다공증, 백내장, 치매, 암을 일으키는데 문제는 음식 섭취로 들어온 당독소는 대부분 소변으로 배출되지만, 10% 는 장에서 흡수돼서 전신에 축적되는데 분해가 되지 않고 배출도 어렵기 때문에 문제입니다.
밥을 기준으로 당독소 함유량을 배수로 나타내보면,
음식 | 밥 | 토스트 | 시리얼 | 파스타 | 빵과 케익 | 와플 |
밥과 비교 | - |
3 배 | 8 배 | 12 배 | 75 배 | 96 배 |
다. 당독소가 많으면 몸이 다음과 같이 변한다.
첫째, 대사율이 떨어져 살이 찌기 쉬운 체질로 변한다.
둘째, 잘 붓고 눈 다래끼, 화농성 여드름 같은 크고 작은 염증이 많아진다.
셋째, 그을린 색깔 또는 카라멜 색깔의 피부가 되고, 피부 탄력이 없어진다. 또한 하체에 당독소가 쌓이면 하체 비만이 된다.
넷째, 작은 자극에도 심한 통증과 불편함을 심하게 느끼며, 성격이 예민해지고 수면의 질이 떨어진다.
다섯째, 위 연동운동이 되지 않아 위장기능이 떨어진다.
'건강정보, 건강상식의오류, 건강 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 농도와 효소가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0) | 2025.05.01 |
---|---|
스트레스와 암 (0) | 2025.04.30 |
당독소와 질병에 관한 이해 (0) | 2025.04.29 |
콜레스테롤 상식의 오류 (0) | 2025.04.29 |
지방과 콜레스테롤에 대하여 (1) | 2025.04.28 |
면역력과 암에 대하여 (1) | 2025.04.28 |